최악의 음식궁합, 서로 잘 어울리지 못하는 음식궁합!


음식도 서로 잘 어울리는 음식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음식이

있다고 합니다. 서로 상호보완하지 못하고 오히려 가치를 떨어뜨리는

격이 되는 경우라고 볼수있는데요 어떤 경우가 있는지 정리해 보았습

니다.




로얄제리와 매실

로얄제리는 로얄제리대로 매실은 매실대로 서로간의 효능을

떨어뜨린다고 하고




치킨과 맥주

궁합이 잘 맞는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것도 아니라고 합니다.

치킨과 맥주의 퓨린성분이 통풍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수도 있다고

하고..


햄버거와 콜라

잘 어울린다고는 할수 없다고 합니다.

콜라의 인성분이 칼슘흡수를 방해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장어와 복숭아

복숭아의 유기산이 장어의 지방이 소화되는것을 방해하여

배탈을 일으킬수 있다고 하니 주의해야 하고요..


생선회와 튀김

일식집에서 튀김이 많이 등장하는데 사실, 생선회의 오메가3 지방산

의 흡수를 튀김류가 방해한다고 하고


시금치와 근대

시금치에는 옥살산이 풍부한데 이 옥살산이 근대의 수산과

결합하면 결석이 되어 버린다.



토마토와 설탕

설탕이 토마토의 비타민흡수를 방해한다고 하며..


도토리묵과 감

둘다 탄닌성분이 풍부해 지나치게 될 가능성이 있어서 절제가

필요하다고 하고


맥주와 땅콩

의 경우도 땅콩의 기름진 성분과 맥주의 수분이 배탈의 주범이 될수

도 있다고 하고..


김과 들기름

김에 들기름에 발라 먹는것은 좋지만 오래 방치하면 들기름을 바른 김

은 점점 산화되어 유해성분이 생기기 쉽다고 하니, 그때그때 발라서 

먹는것이 좋다고 하고.


조개와 옥수수

 둘다 조직이 단단한 식품으로 소화가 힘들므로 같이 먹는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하고..


당근과 오이는

잘 알다시피 비타민C를 파괴하는 효소를 가지고 있어서 그냥 먹으면

별로 도움이 않되는데요 이때는, 식초 한방울이면 해소가 된다고 하는

데 그래서 많은 음식점에서는 당근이나 오이로 요리를 할때 식초가 살짝

가미된 재료를 쓴다는 점...



미역과 파

미역국에 파를 넣지 않는것은 요리의 상식이지오..

파의 인과 유황이 미역의 칼슘흡수를 방해하고 또, 서로 끈적한 성분이

섞이면 맛없는 요리가 되고 만다고 하고..


오이와 무

오이의 효소가 무우의 비타민 c를 파괴하기 때문에 서로 섞지 않는것이

좋으나 오이채나물이나 무채나물을 할때, 거의 모든 엄마들이 식초를

살짝 첨가하는 이유는 오이의 이런 비타민C 를 파괴하는 효소를 없애기

위해 지혜를 발휘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지오.. 소스에도 식초가

들어가 있다는 점을 유념하시고..


홍차와 꿀

홍차의 탄닌이 꿀의 철분과 만나 흡수가 않되는 탄닌산철로 변한다고

하고..


게와 감

게는 매우 고단백 식품인데 감에는 탄닌성분이 들어있어 소화불량을 일으

키거나 할수도 있다. 이때문에 식중독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우유와 소금,설탕..

우유는 그냥, 먹는것이 좋다. 요즘 우유는 굳이 씹어먹을 필요는 없지만

입안에서 씹어먹는 기분으로 잠간 머물렀다 삼키는것은 좋다고 할수 있

다고 하고.. 설탕은 우유의 비타민을 파괴하고 소금은 이미 우유에 알맞게

들어 있다고 한다.



문어와 고사리

문어는 단백질이 매우 풍부하지만 소화가 힘든 식품.. 고사리도 섬유질

이 매우 강한 식품으로 함께 먹으면 소화불량을 초래할수도 있다고하고..


동물의 간과 수정과

수정과의 탄닌성분이 동물의 간에 들어있는 철분과 결합하여

몸에 흡수되는것을 방해하고..


팥과 소다

소다는 팥의 비타민B1군을 파괴한다고 하며..


선짓국과 홍차

선짓국은 빈혈에 좋은 식품인데 먹고나서 홍차를 마시면 철분의 이용도가

낮아지므로 피하는 것이 좋고..


산채와 고춧가루

산채는 그 고유의 향과 맛을 즐기기 위해 많이들 찾고 있는데 언제부턴가

여기에도 고춧가루를 엄청뿌려대는곳이 많이 생기고 있다. 전혀, 어울리지

않는 궁합이라고 하는데 산채의 맛은 어디론가 도망가고 없고 고춧가루와

조미료맛만 남게 된다고 한다.

Posted by anmin
,